본문 바로가기
점착

양면 테이프의 종류

by 바람80 2023. 11. 19.

바람80의 블로그

양면 테이프는 양쪽 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종의 피착물을 붙일 수 있는 점착테이프이다. 스마트폰 분해 동영상 초기에 항상 볼 수 있는 액정과 본체의 고정 테이프나 하이패스 거치대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테이프도 양면 테이프다. 이렇게 일상생활부터 산업용까지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는 만큼 종류도 다양하다. 이러한 양면 테이프의 구조를 살펴보고 그 종류를 기재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해 보았다.

 

 

양면 테이프의 구조

 

양면 테이프는 크게 기재 타입과 무기재 타입이 있다. 기재에 코팅되어 한쪽 면에서만 점착을 발휘하는 단면 테이프와 달리 기재가 내부에 있어 육안으로는 구별하기가 어렵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양면 테이프는 기재 타입이다. 무기재 타입은 부착 형태의 자유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나 작업성과 가공성이 부족하여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예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OCA이다. 

기재 타입의 양면 테이프는 사용되는 기재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나 특성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어 생활 용품부터 산업용까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양면 테이프의 구조

 

기재 타입 양면 테이프의 분류

양면 테이프의 기재 타입은 기재와 점착제의 결합력에 문제가 없다는 전제하에, 각각의 기재에 동일한 점착제를 적용할 시 피착물에 대한 부착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점착의 3대 물성인 접착력과 응집력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기재 타입 양면 테이프를 사용되는 기재에 따라 분류하여 특성을 정리해 보았다. 

1. 폼 테이프 

기재로 폼을 사용하는 테이프로, 아크릴 폼, PE 폼, PU폼을 주로 사용한다. 3M의 양면 테이프나 초강력 양면 테이프로 소개하는 VHB에는 주로 아크릴 폼을 사용한다. 

 폼은 수지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그대로 구조안에 가두어 발포하거나, 물리적으로 발포하는 방법과 발포제를 사용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하며, 점착제의 내충격성,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폼의 색상에 따라 투명, 검정, 회색, 흰색 등으로 제조되고 보통 0.5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된다. 

폼 테이프의 점착제는 주로 아크릴계를 사용하며, 점착제 점착력에 폼과 더해 강해진 응집력으로 강한 접착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초강력 접착으로 소개되는 제품들은 점착제에 특수 첨가제를 더한 것으로, 주로 극성을 갖는 표면, 즉 유리나 금속 등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다. 하이패스 거치대, 접착식 고리 등 고정용으로 폼 테이프가 많이 사용된다. 

 

 

2. 필름 양면 테이프

PET, PE film 등을 기재로 사용하여 양 면에 점착제를 코팅한 구조로 제조된다. 아크릴, 실리콘 점착제가 주로 사용되며, 양 면에 같은 점착제가 코팅된 타입과 각 면에 아크릴과 실리콘을 각각 코팅한 디퍼런셜 타입이 있다. 일반적으로 0.1~1mm 두께와 투명한 특성을 가지며, 그중 PET 필름을 기재로 사용한 양면 테이프는 내수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주로 전사 테이프나 면과 면을 접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3. 부직포 테이프 

부직포를 기재로 하여 제조되는 부직포 테이프에는 주로 아크릴 점착제가 사용된다. 부직포의 특성상 가공성이 좋고 PET 기재 대비 굴곡면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다. 손으로 쉽게 찢을 수 있을 정도로 가공성이 좋아 생활용품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형상이 잘 유지되고 다이 커팅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4. 복합구조 테이프

폼을 주요 기재로 하되 필름을 서브 기재로 사용하는 등의 복합구조 테이프도 개발 및 제조되고 있다. 점착/필름/점착/폼/점착/필름/점착 같은 구조로 내충격, 빛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제조되어 주로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마무리

양면 테이프는 크게 기재와 무기재 타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기재 타입은 다시 폼 테이프, 필름 양면 테이프,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무언가를 어디에 고정하는 데 사용할 용도이면 폼 테이프, 다이어리에 기사나 사진을 붙일 때는 부직포 테이프나 필름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처럼 기재에 따라 다른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3M, TESA 같은 테이프 제조사는 제품 소개 자료를 통해 기재에 어떤 소재가 사용되었는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점착제의 3대 물성

점착제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라 지칭되며, 압력만으로도 붙일 수 있고 다시 떼어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점착제는 표면에 붙을 수 있는 흐름성을 가지면서도

pung-dre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