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점착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

by 바람80 2023. 11. 16.

바람80의 블로그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습윤밴드의 일종으로 자체 점착성을 가지고 있는 드레싱재이다. 대일밴드 같은 건식밴드와 달리 연고를 바르지 않고 상처 부위에 부착하여 습윤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치유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므로 습윤상태에서도 피부에 대한 점착력이 유지되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점착"특성에 촛점을 맞추어 어떤 물질들이 사용되는 지 살펴보았다. 

 

하이드로콜로이드의 구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은 일반적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기재/하이드로콜로이드/이형필름의 형태로 제조된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층은 뼈대라 할 수 있는 주재료에 점착부여제, 첨가제, 흡수제 등을 첨가한 조성물로 구성된다. 주재료는 대표적으로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가 사용되며, 흡수제는 Carboxymethyl cellulose (CMC)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글리세릴 같은 친수성 고분자를 적용한다. 

하이드로콜로이드 구조
하이드로콜로이드 구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의 주재료

한국 등록특허 등을 참고하여 주로 사용되는 세 가지 타입의 주재료를 정리하였다. 주재료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점착 특성을 구현하고, 내구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1. 고무계

주재료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은 고무계 폴리머로 PIB와 SIS 공중합체 등의 이소부틸렌과 스티렌계를 주 골격으로 하는 공중합체이며, 점착 부여제를 첨가하여 점착력을 보완하였다. 고무계의 특성상 100℃ 이상의 고온하에서 혼합 및 도포하여 제조한다. 

2. 아크릴계

아크릴계 점착제는 자체 점착력이 우수하여 점착 부여제를 배제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2-EHA, 2-HEA, IOA 등의 단량체로 예비중합체를 제조하고, 예비중합체에 광개시제를 비롯한 첨가제들을 배합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을 이형필름에 도포하고 UV를 조사하여 제조한다. 

3. 실리콘계

비닐기를 갖는 폴리실록산과 Si-H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의 부가반응으로 사슬 가교를 형성하여 제조한다. 점착부여제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자극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일반적인 점착제의 주요 수지인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를 주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점착 특성을 구현한다. 이 주재료들은 흡수제를 골고루 분산시켜 흡수성을 높이면서도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점착력이 너무 낮으면 흡수물들이 빠져나오거나 하이드로콜로이드가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점착력이 너무 높으면 박리 시 피부가 같이 떼어져 상처가 덧나거나 자극성이 강할 수 있어 적정한 수준의 점착력과 점착력 유지 특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또한 건성, 지성, 복합성 등 사람마다 피부의 유분 특성이 다르므로 동일한 점착력에도 다른 결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점착력은 일반적인 점착테이프의 점착력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데이터와 사람 피부에 직접 적용하여 평가한 정성평가 결과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